4-1) 가상호스팅 설정 및 워드프레스 설치
APM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과 가상호스팅 설정을 위해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우리의 인스턴스에 접속해서
#
# 이전 포스팅 참고하세요.
#
$> oci-web-01
ubuntu@my-webserver-01:~$
#
# 최신 버전의 wordpress를 다운 받습니다.
#
wget https://wordpress.org/latest.tar.gz
#
# 압축을 풉니다.
#
tar -xzvf latest.tar.gz
압축이 잘 풀렸네요..
저는 가상 호스팅으로 2개의 웹사이트를 한 인스턴스에서 띄울 예정이므로, 도메인을 할당하겠습니다.
도메인이 없으신 분은 가상 호스팅은 따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SSL 인증서도 도메인 기반이라…
내 맥북의 /etc/hosts 파일에 IP-도메인 연결로 가상호스팅까지는 구현할 수 있으나, 거기까진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어차피 이런 경우는 SSL인증서도 발급을 못 받아서요.
도메인이 퍼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내 맥북의 /etc/hosts 파일에 IP – 도메인을 등록해도 됩니다.
#
# 압축 푼 파일을 아파치 홈으로 복사합니다.
#
sudo cp -r wordpress/ /var/www/wp01.tera.co.kr
#
# 아파치 User로 소유자변경
#
sudo chown -R www-data: /var/www/wp01.tera.co.kr
# 환경 파일 생성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wp01.tera.co.kr.conf
# 파일 내용
<VirtualHost *:80>
ServerName wp01.tera.co.kr
# ServerAlias www.tera.co.kr
ServerAdmin monco@monco.tera.co.kr
DocumentRoot /var/www/wp01.tera.co.kr
<Directory /var/www/wp01.tera.co.kr>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Directory>
ErrorLog ${APACHE_LOG_DIR}/wp01.tera.co.kr-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wp01.tera.co.kr-access.log combined
</VirtualHost>
저장하고 쉘로 나옵니다.
#
# 사이트를 활성화합니다.
#
sudo a2ensite wp01.tera.co.kr
# 환경파일 테스트
sudo apachectl configtest
# 아파치 재 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중간에 에러 메시지는 그냥 무시하셔도 됩니다.
자 이제 브라우저에서 여러분의 도메인(http://wp01.tera.co.kr)으로 접속해 봅니다.
이렇게 뜨면 성공한 것이고, 설치를 계속해 봅니다.
이전 강의(MySQL 설치)에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겠습니다.
접속 정보가 맞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사이트 정보를 입력하시고요
드디어 성공했네요.
로그인을 하거나, 하단에 <- 월간코딩으로 돌아가기를 누릅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여러개의 사이트를 띄우는 것이 목표이므로 워드 프레스를 하나 더 설치하겠습니다.
위에 한 작업을 반복합니다.
#
# 나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cd
#
# 압축 푼 파일을 아파치 홈으로 복사합니다.
#
sudo cp -r wordpress/ /var/www/wp02.tera.co.kr
#
# 아파치 User로 소유자변경
#
sudo chown -R www-data: /var/www/wp02.tera.co.kr
# 환경 파일 복사
sudo cp /etc/apache2/sites-available/wp01.tera.co.kr.conf /etc/apache2/sites-available/wp02.tera.co.kr.conf
# 환경 파일 수정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wp02.tera.co.kr.conf
# 파일 내용
<VirtualHost *:80>
ServerName wp02.tera.co.kr
# ServerAlias www.tera.co.kr
ServerAdmin monco@monco.tera.co.kr
DocumentRoot /var/www/wp02.tera.co.kr
<Directory /var/www/wp02.tera.co.kr>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Directory>
ErrorLog ${APACHE_LOG_DIR}/wp02.tera.co.kr-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wp02.tera.co.kr-access.log combined
</VirtualHost>
저장하고 쉘로 나옵니다.
#
# 사이트를 활성화합니다.
#
sudo a2ensite wp02.tera.co.kr
# 아파치 재 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브라우저에서 wp02.tera.co.kr로 접속합니다.
아까와 동일한 화면인데, DB 정보만 다르게 합니다.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생성해도 되고, 기존 DB에 테이블 접두어만 바꿔도 됩니다.
저는 기존 DB를 사용하겠습니다.
사이트정보를 입력합니다.
이번에는 로그인하여 테마를 바꿉니다.
테마가 변경된 홈페이지로 이동해봅니다.
이렇게 해서, 가상 호스팅을 이용해서, 한 개의 인스턴스에 2개의 사이트를 띄워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