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강의 개요
이 강의는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Free Tier)를 이용하여 무료 웹서버 구축하는 법을 강의합니다.
AWS, Google, Azure 등 요즘 클라우드 들의 전쟁이 뜨거운데요,통 큰 무료 서비스로 한국 사용자를 확 잡아끈 오라클 클라우드의 상시 무료(항상 무료, Alaways Free) 서비스를 쉽고 간단하게 구축하기 위한 족집게 가이드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Free-Tier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제공되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자세한 자료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인프라
- 각각 1/8 OCPU 및 1GB 메모리가 있는 2개의 컴퓨트 가상 머신.
- 2개의 블록 볼륨 스토리지, 총 100GB.
- 10GB 객체 스토리지.
- 10GB 아카이브 스토리지.
- Resource Manager: 관리형 Terraform.
데이터베이스
- Oracle Autonomous Transaction Processing 또는 Oracle Autonomous Data Warehouse 중에서 선택합니다. 총 2개의 데이터베이스, 각각 1개의 OCPU 및 20GB 스토리지 포함.
- 매월 1억 3300만 읽기, 매월 1억 3300만 쓰기, 테이블 당 25GB 스토리지, 최대 3개의 테이블을 제공하는 NoSQL Database.
관리
- 모니터링: 5억 개의 수집 데이터 포인트, 10억 개의 검색 데이터 포인트.
- 알림: 매월 https를 통해 전송되는 백만 개, 매월 이메일을 통해 전송되는 1,000개.
- 서비스 커넥터 허브: 2개의 서비스 커넥터.
추가 서비스
- 로드 밸런서: 인스턴스 1개, 10Mbps.
-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 매월 10TB.
위 문서만으로는 찾기 힘들 경우, 아래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참고하세요.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서비스 FAQ
https://www.oracle.com/kr/cloud/free/faq.html
어지간한 작은 사이트의 경우 국내 저렴한 웹호스팅을 이용해도 충분하기도 하지만, 스케쥴러(Crontab), 무료 SSL 인증서 등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오라클 클라우드의 독립 서버를 활용해봤습니다.
아래와 같은 목차로 진행해 볼 예정입니다.

이 강의의 목표는
오라클 클라우드의 ‘항상 무료’를 이용하여 (오라클의 정책이 바뀌기 전까지) 완전 무료인
- 2개의 독립서버를 생성하고
- 각 2개의 웹사이트, 총 4개의 웹사이트를 띄우고
- 4개의 사이트에 SSL인증서를 등록하여 https 보안 접속을 하게 한다.
입니다.
그럼 커리큘럼대로 잘 따라해 보세요.